보통 라면봉지의 뒷면을 보면 라면 1개당 물 500ml 정도를 넣게
되어있죠?
그럼 산술적으로 봐도 라면 두개면 1000ml를 넣어야 할 것 같단 말이죠?
근데 2개 끓일 땐 800ml정도를 넣으라 하잖아요?
이게 참 궁금했어요
오히려 면이 두개 들어가면 면이 물을 잡아먹어서 그것보다 더 넣어야
할 것 같은데 그게 아닙니다
라면 두개 끓일 때는요, 물을 한개 끓일 때의 두배보다 조금 적게 넣어야
딱 맞습니다
왜냐구요?
첫째, 라면 두개를 한꺼번에 끓이면 물이 증발하는 양 자체가 줄어들어요
둘째, 물 양이 많으면 많을수록 증발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이죠
쉽게 말해서 1개 끓일 때보다 2개 끓일 때 물이 증발이 별로 안되기 때문에
2배보다 더 적게 넣는거에요
이제 아셨죠?
이 점을 생각하시고 라면을 끓이면 더 맛있게 드실 수 있을 겁니다
라면은 물양이 맛을 결정하잖아요
맛있게 끓여 드세요!
'세상의모든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옥상바닥이 초록색인 이유는? (0) | 2025.03.09 |
---|---|
사이비가 영어가 아니라 한자어라고? (2) | 2025.03.08 |
경계선지능이란? (8) | 2025.03.08 |
더치페이가 이런 뜻이었다고? (0) | 2025.03.08 |
요즘 대형카페가 많은 이유는? (4) | 2025.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