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파와 우파 라는 용어는 18세기 프랑스 혁명 (1789~1799년) 시기에 처음 등장했습니다.
당시 프랑스 국민공회에서 의원들이 의장석을 기준으로 정치적 입장에 따라 좌우로 나뉘어 앉은 것이 그 기원입니다.
좌파 - 급진적인 개혁을 주장한 몽테뉴당(자코뱅파)이 의장석의 왼쪽에 앉았습니다.
이들은 왕정폐지, 공화정 수립
평등과 시민의 자유 등 혁신적인 변화를 요구하는 세력이었습니다.
우파 - 입헌군주제를 주장한 지롱드당(혹은 왕당파)이 의장석의 오른쪽에 앉았습니다.
이들은 기존의 사회 질서와 전통,
사적 소유권을 옹호하며 점진적이거나 보수적인 개혁을 선호하는 세력이었습니다.
이렇게 의석의 위치에 따라 급진파는 좌파, 온건, 보수파는 우파로 불리게 되었고, 이후 이 구분이 정치적 이념을
대표하는 용어로 정착했습니다.
용어의 변화와 확장
프랑스 혁명 이후 : 좌파는 대체로 급진적 개혁세력, 우파는 온건, 보수적 개혁세력을 의미하게 되었고,
점차 세계 각국의
정치 용어로 확산되었습니다.
이념적 의미 : 좌파는 평등, 분배, 복지, 국가의 시장 개입 등 진보적 가치를 중시하는 반면,
우파는 자유시장, 사유재산, 전통, 작은 정부 등 보수적 가치를 강조합니다.
한국에서의 도입 : 우리나라에서는 3.1운동 이후 사회주의 사상이 전래되면서
좌파, 우파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했고
1920년대 중반에 정치적 개념어로 정착했습니다.
현대 의회에서는 정당별, 이념별로 좌우 구분에 따라 의석을 배치하는 경우도 있으나,
실제 배치 기준은 각국 의회의
전통, 정당 간 협의, 의회 운영 방식에 따라 다릅니다.
예를 들어, 프랑스 등 일부 유럽 국가에서는 여전히 이 전통이 남아있지만,
한국이나 미국 등에서는 정당별로 좌우를
나누어 앉되, 좌파, 우파라는 이념적 기준 보다는 정당별로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를 알아보겠습니다.
좌파(진보)
주요 가치 - 평등, 분배, 복지, 사회 변화, 남북 화해
대표 정당 - 정의당, (과거)민주노동당, 통합진보당
역사적 기반 - 민주화, 노동, 학생운동, 사회주의, 민족해방
지역 기반 - 전라도(호남) 등
우파(보수)
주요가치 - 성장, 효율, 자유시장, 안보, 전통
대표 정당 - 국민의 힘, (과거)한나라당, 새누리당
역사적 기반 - 반공, 산업화, 국가주의, 권위주의
지역 기반 - 경상도(영남) 등
물론 정치나 이념은 상당히 복잡한 것이므로
이번 포스팅에서는 굵직굵직한 느낌으로 나눠서 설명한 것이니
판단은 본인의 몫!
'세상의모든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나라 예비군과 민방위 의무 기간은 얼마나 되나? 언제까지 해야하나 (0) | 2025.04.29 |
---|---|
우리나라에 고엽제 피해자는 얼마나 되며, 대체 고엽제란 뭘까? (2) | 2025.04.29 |
대선 주요 후보별 공약 정리 (4/28일 기준 ) (8) | 2025.04.28 |
대선 관련주? (6) | 2025.04.28 |
요즘 유심이 난린데 유심이 대체 뭔데? ( 유심교체하는법) (2) | 2025.04.28 |